특이한 제목의 영화를 보았다. <벌새>. 줄거리는 중삐리의 성장기인데, 이 중삐리 집에서 막내다. 하지만 사랑을 듬뿍 받지 못하고 오빠에겐 맞고 자란다. 그래 되지도 않는 사랑을 갈구하기도 한다. 친누나도 하나 있는데 동생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남자 친구를 방에 데리고 와 자주 잘 정도니. 친한 친구도 있지만 뭐 딱히.. 같이 문방구에 물건도 홈치는 게 취미 생활이고.. 그 시대를 표현하려고 했지만 그 시대 대학생이었던 나에게는 그 시대 대학생도 쌍팔년도처럼 그려져 있더라. 많이 혼란스러웠던 영화다. 하지만 81년 출신인 김보라 감독에게 지금 정권을 잡은 486이나 우리 X세대나 다 똑같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 <벌새>!
이 영화가 특이한 점은 전형적이지 않은 중삐리 여주의 관점에서 세상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포스터에 있는 대로 1994년 가장 보편적인 은희(여주)는 아니다. 일반적인 애가 여주 같을리는 없고 반에서 좀 놀아야 여주 정도 되지. 이 영화 또 재밌는 것이 여주가 사귀는 남자 애가 의사 아들?인데 엄마가 전형적인 시어머니 포멧 멘트를 치며 데리고 가기도 한다. (순간 사랑과 전쟁 1990년대 중삐리 버전인 줄 알았다. 색 달랐다^^*)아 정말! 모 포털의 카피는 무시해라. 보편적이지도 찬란하지도 않은 그냥 1994년 색다른 중삐리 이야기다.
난 이런 스타일로 삶을 산 가족에 속한 대학 동기들을 몇 보았다. 대치동 같은데 94년도 그 당시에 살았던.. 부모님 같이 장사하시고.. 도덕심은 제로에, 항상 돈이 없다던.. 알고 보니 대치동과 같은 강남에 그 당시 아파트 2채 준비하시고 자식들 3씩 키우느라 그 집 자식들은 항상 돈이 없어서 나 같은 동기에게 통학 버스비도 달라고 했지. 이제 50전후가 되자 그런 집 자식들은 수십 억 자산가의 집안이 되었다.
맞고 산 거 여주 뿐만아니라 뭐 나 자랄 때 선생님에게 맞고 부모에게 맞고 선배에게 맞고, 나도 그렇게 자란 세대이기에 극 중 대학생 선생이 맞고 살지 말라는 말에는 전적으로 공감하나 (난 95년도에 우리 과 선배를 고소해 과내 관례화된 집단 구타를 없앴다) 지극히 여주 관점인 이 영화는 정말 오래간만에 보는 X세대의 삶은 산? 개인주의적인 영화다. 역시나 이런 스타일은 베를린.. 영화제. 역시나 찾아보니 베를린 국제 영화제다.
뭔 소리냐? 극 중 여주 자신을 찬 남자애에게 가기 위해 자신을 좋아하는 후배 여, 앞에서 말도 안되는 행동을 했지만 웃긴 건 결국엔 여주가 피해자처럼 느껴지게 그려져 있다. 따라서 이건 성의 문제가 아닌 감독이 주인공을 그리는 방식이 그러하는 것이다.
물론 난 이 영화 추천. 이런 스타일의 연출 드로잉으로 그려진 장편 영화, 정말 보기 힘들다. 그것도 중삐리의 관점에서 그려진. 이런 스타일의 영화 다신 볼 수 있을까? 해당 분야에 관심 있는 관객에게 정말 보석 같은 영화다. 예고편 첨부한다.
그리고 아 또 중삐리 영화인데 15세 이상 관람가다! 우리 등급 위원들은 참.. 그래. 초삐리 영화도 중삐리 영화도 고삐리 영화도, 다 해당 대상들이 못 보게 등급 매긴다. 왜 그러는 거야? 안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아 정말 너무하지 않나요. 이런 환경에서 한국 영화 살아남는 것이 용합니다. 가슴 쪼매 많이 아픕니다. 된장할!
큰 주인님이 청소하신다고 영화 한 편 보고 오라신다. 주어진 시간은 3시간! 시간 맞는 영화를 보니 신촌 아트레온 CGV에 <애프터>가 있더라 Go!
뭐 '포스터 보면 알겠지만 선남선녀'의 대학 학창 시절 흔하디 흔한 '사랑 이야기'다! 특별한 것 없고 다만 내 글 제목대로 선녀는 얼굴에, 선남은 상체에 집중한다. ㅎㅎ, 뭔 얘긴지 보면 한다. 줄거리상 반전 하나 있는데 이제는 너무 흔한 반전이라 반전이라 할 것도 없고, 그냥 킬링 타임용 청춘물이다.
줄거리는 여주 대학 가서 술도 먹어보고 연애도 해보고 원래 애인이던 고3 차고 대학 선배 사귀다가 배신 당하고.. 뭐 이런 흔디 흔한 청춘물인데 솔직히 아련하지는 않고 그렇다고 에로 영화도 아니고 찬란한 청춘물도 아닌 것이 그냥 개봉 극장 갔는데 볼 것 마땅할 것 없을 때 보기 딱 좋은 영화다. 예고편 첨부한다.
여주인 조세핀 랭포트 성장 속도가 폭발적이라는 느낌이 든다!
주목해 봐야 할 배우다!
그녀 옆에 같이 누워있는 남주 히어로 파인즈 티핀도 맡은 역이 아닌 배우 자체로 기대가 된다. 그럼 이상입니다.
DISPERSE OR WE FIRE?? 무슨 뜻이지? 아 흩어지지 않으면 총으로 쏴버리겠다! 인가? 얼마 전에 홍콩 경찰들이 리버~ 뭐시기 권총을 홍콩 시민들에게 들이민 사진을 봤는데! 홍콩의 상황은 유튜브에 'hong kong protest live'를 검색하면 주말 마다 실시간 상황을 볼 수 있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를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 시민? 그건 가진자들이 자신들 대신 목숨 걸고 싸우다가 직업 잃고 폐인 되고 사람 죽으라고 하는 이야기고. 왜? 자신들 출세를 위한 홍위병으로!!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경찰이다! 경찰!! (내 공무원까지는 안 나갈께!) 박근혜 탄핵 때 경찰이 시민의 편에 서지 않았다면 폭력 시위 유도해 솔직히 군의 계엄령 선포는 껌값이었지, 뭐. 내 또래 이상 애들 솔직히 정치하러 육사 갔는데 걔네들 장군이거나 진급 못한 대령이야, 지금! 뭔 말인지 끄덕끄덕??
물론 그 댓가로 검찰은 수사권을 경찰과 나눠야겠지만, 확실한 보상이 없다면 어떤 경찰이 위기의 순간에 시민의 편에 서겠어. 된장 할! 여하튼 홍콩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주말 유튜브 라이브를 시청하시길! 생생하게 홍콩의 상황들이 전해 온다. 이명박 정권 초기 시위 때 우리나라도 누군가 인터넷 라이브 방송 첨 했었는데 그때 생각도 난다. 밑은 글 쓸 당시 생방중이었던 유튜브 방송 채널 링크.
그냥 생각없이 보았다. 제목이 <안나>인데 CGV어플로 개봉하고 있는 영화들 살펴 보는데 어떤 여자가 눈에 힘주고 있고 낯익지 않은 배우들 총 네 명이 포스터에 그려져 있는데 뭔가 색깔이 있네, 이거!
즉감적으로 어플에서는 포스터 색감만 보이는데 이거 봐야할 영화라는 것이 느껴졌다. 재밌겠구만! 재미로는 이번 주 개봉 영화 중 최고일 것 같은데.. 하는 감이 왔다! 그래 큰 주인님이 집에 갑자기 들어가야 하자 나는 영화 두 편을 연이어 봤다. 원래 보려고 했던 유열의 음악캠프와 이거 <안나>!
줄거리는 불의의 사고로 부모를 잃고 인생이 만신창이가 된 여주, KGB에 스카웃 되어 최고의 모델과 킬러가 되고...(이상의 줄거리는 심각한 스포가 될 수 있음에 이야기 하지 않겠다!) 지금 극장에 매력적인 여주가 킬러인 영화 단 한 편도 없다!
1. 액션 영화 좋아하시는 분께 추천!
2. 스파이 영화 좋아하시는 분께 추천!
3. 보고 나니 스타일이 뤽베송이네. 뤽베송 감독의 <레옹>
니키타!
좋아하시는 분들께 적극 추천한다! 뤽베송의 아직도 살아있는 감각에 경의를 표한다. 안나 예고편.
큰 주인님 보시겠다고 해서 개봉 날 못 보고 주말을 기다렸는데 큰 주인님 일이 생겨 혼자 봄. 벌써 최근 세번째. ^^ 할 수 없이 골드 클래스로 예약 했다가(요새 CGV 골드 클래스 만원한다! 세상에!! 주말 일반 표 요금이 11,000원인데 말이다!) 취소하고 (영화 두 편 보려니 앞에 하는 영화 봐야 해서 취소함) 혼자 봄!
줄거리는 엄마 빵집 물려 받아 장사하던 김고은이 소년원에서 출소하고 빵집에 일하러 온 정해인을 좋아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무슨 이유인지 정해인 사라지고, 대학 가고 또 우연히 만나고 군대 때문에 이별하고, 그러다 또 우연히 만나고 뭐 이런 (된장! 설정이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때 인데.. 그려^^*) 상황 속에 또 우연히 만나 여하튼 사랑하게 된 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왜 유열의 음악앨범이야! 그들이 만나게 되는 계기의 큰 두 축이 유열의 음악앨범과 관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정해인이라는 배우를 처음 봤다. 티비를 안보기에.. 그래서 드는 생각인데 김고은과 정해인의 콤비 괜찮았다. 그리고 지금 극장가에 영화가 없습니다. 특히나 여름의 막바지 와이프랑, 애인이랑 볼 영화는 이거 밖에 없습니다.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옛날 인터스텔라 11월 비수기에 성공했던 것처럼, 이 영화도 8월말, 9월초 개봉 잘 잡은 것 같습니다. 흥행 성공하시길! 예매율 1위 이번 주 내내 하지 않을까 싶어요. 예고편 첨부합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시대 사이로 20대를 보냈던 지금의 40대들에게 감성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영화입니다. (다만 주인공의 학교 폭력과 관계된 설정 때문에 공감이 좀 떨어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 폭력 피해자들에게는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화가 날 수도 있어요!) 이상입니다. 먹고 살기 바빠 심리적 여유가 없어 댓글에 답글 못달음 용서해 주시길..
*추신. 글 제목이 왜 '남자는 잘 생겨야 해!'인지 영화 보면 보는 내내 깨닫게 된다. 그래 이제 남자'도' 잘 생겨야 해! 하는 시대가 아닌 남자'는' 잘 생겨야 해! 하는 시대가 됐다. (아니? 이거 '옛날' 영화야! 옛날에도 그랬다는 거지! 물론 어찌보면 영화에서만^0^*) 굿! ^^*
그가 주인공인 영화! 감독 겸 주연이다! ㅋㅋㅋ.. 어디서 봤는지 기억이 안 나시는 분은 최근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나 직전 <어벤져스 :엔드게임> 생각하시면 된다.
아쉽게도 포스터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스파이더맨의 숙모와 썸 타시는 그 분이시다. 이 양반 대단한 것이 최근 개봉한 <라이언 킹>의 제작 겸 감독이기도 하다!
그래 몇 년 전에 이 영화 볼 때 이런 정황을 모르고 봤기 때문에 신기하기는 했다. 뚱뚱한 아저씨가 주연이고 그런 영화에 더스틴 호프만,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나오고 심지어 스칼렛 요한슨이 몰리 역으로, 어렴풋한 기억이었는데 이 뚱땡이의 애인으로!!!?? 출연했다. 우왓! 그래 그냥 생각 없이 보다가 '뭐? 뭐야?? 뭐 이런 조합이??? 이 배우 뭐지? 뭐냐? 감독이라고? 뭐지?! 이 사람!' 했던 기억이 난다. 영화 보면 재밌으니 함 보시길! 앞에 광고 5초만 보다가 스킵하면 스트리밍으로 무료로 볼 수 있다.
줄거리는 일류 셰프가 자신의 식당 오너와 싸우고 평론가에게까지 까이자 트위터로 평론가와 썰전을 버리다 다 때려치우고 아이언 맨에게 받은 고물 푸드 트럭으로 미국 전역을 일주하며 자신의 실력을 선보이는 영화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볼 만하다. 그럼 아이언 맨 감독이 궁금할 때나 스파이더맨 숙모와 썸 타는 사람의 과거?가 궁금할 때 함 보시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