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에 대한민국 연쇄 살인범에 대한 이런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가 걱정하는 것이 하나 있는데, 그건 ‘아들’이라고. 아들이 자기를 어떻게 생각할까 걱정이고 아들이 어떻게 살아갈까 걱정이라고. 특히 아들의 금전적 문제를 해결해 줘야 해서 자서전이라도 쓰려고 한다고. 그때의 ‘욱!’한 심정이란? – 그 기사를 읽은 대한민국 모든 사람들이 느꼈을 것이다.      


   그런데 그 기사를 잊고 살다가 어느 날 우연히 거의 모든 개봉 영화를 보는 나이기에 어떤 영화를 보고 다시 그 기사가 떠 올랐다.  

      

  2015년 9월 10일 대한민국에서 개봉한 손승웅 감독의 영도. 극 중 주인공 영도는 연쇄 살인범의 아들로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그는 당연히 절대 헤어 나오지 못할 악몽 속에 살고 있으며 끝내 악몽처럼 죽는다. 그에게 살아 생전 다른 선택은 절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오히려 관객은 그의 죽음이 애석하기까지 하다.   

   왜냐하면 극 중 영도는 평범하게 살고 싶어하며 사실 선한 면이 몇 몇 부각되기까지 한다. 그는 아버지만 아니면 어쩌면 정말 착한 청년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연쇄 살인범의 아들로, 어머님에게 버림 받은 아들로, 사회의 학대에 가까운 천대를 받으며 가난하게 살아야 하는 그에게 정말 다른 기회는 없어 보인다.       

   그래서 영도는 어쩌면 굉장히 가치있는 영화였다. 만약 연쇄 살인범의 아들이 영도처럼 산다면 그건 우리 모두의 잘못이라는 것을 영화 영도를 보며 깨닫게 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똑같은 연쇄 살인범의 자식으로 살아야 하는 한 여성의 삶을 그린 오늘 소개할 이 영화 ‘엘르’는 정말 달랐다. 그녀는 영도와 똑같은 연쇄 살인범의 자식이지만 삶의 질적 수준 자체가 ‘달랐기’ 아니 ‘틀렸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 6월 15일 개봉한 엘르 포스터다. 해당 영화는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여우 주연상과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사실 포스터의 ‘냉혹하고 우아한 그녀의 복수’나 ‘매혹적인’ 등의 관련 기사, 심지어 필자가 다른 개봉 영화를 보기 위해 수 번이나 봐왔던 이 영화의 극장판 예고편은 해당 영화의 본질 자체를 왜곡시킬뿐만 아니라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 조차 은폐시킨다.      

   왜냐하면 이 영화에서 그녀는 연쇄 살인범의 딸이며 수십 년 전 아버지가 수십 명을 죽인 그 날 현장에서 함께 했던 인물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제 할머니까지 된 그녀는 사실 게임을 개발하는 회사의 CEO이기도 하다. 즉 그녀는 사회적으로 성공했으며 사실은 그녀 자신 또한 잔혹함의 사이코 패스적 기질 또한 갖고 있다. 그래서 이 영화 어찌보면 똑같은 연쇄 살인범의 자식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지만 영도처럼 그 주제가 교훈적이지 않다. 그리고 놀랍게도 그게 정말 이 영화의 매력이다.      

   전혀 주인공에게 연민을 느끼게 하지 않을뿐더러 주인공이 불쌍하지도, 주인공 때문에 슬프지도 않다. 그래서 ‘관객인 나’는 그런 면에서 무척이나 편했다. 물론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는 허리우드에서 제작되지 못했다. 대중적으로 사랑 받지도 못하는, 대중적으로 솔직히 매혹적이지도 않는 극중 캐릭터 때문에 – 내 생각이다 – 감독인 폴 버호벤은 어쩔 수 없이 이 영화를 프랑스에서 만들었다고 한다.  폴 버호벤 감독. 그렇다. ‘원초적 본능’, ‘로보캅’, ‘쇼걸’, ‘스타쉽 트루퍼스’의 폴 버호벤 감독이다.     


특히 해당 작품 ‘엘르’와 관련하여 나는 캐릭터 때문에 ‘원초적 본능’에 살짝 집중하고 싶다.  

     

   1992년 5월 23일 개봉한 ‘원초적 본능’은 그 당시 단연코 화제작이었다. 마이클 더글라스의 상대역으로 출연한 샤론 스톤은 이 영화 한 편으로 세계적 섹시 스타로 등극했으며 취조를 받던 중 꼰 다리를 바꾸는 극 중 그녀의 행동은 수 많은 매스컴을 통해 연신 회자됐다. 그런데 이 글을 읽는 당신이 기억해야 하는 것이 있다. 극중 샤론 스톤이 연기한 역은 작가로 록스타 살인 혐의를 받고 있었다. 그것도 정사 중 송곳으로 살해한 살인 혐의로 말이다. 그리고 영화는 마지막으로 그녀가 진짜 살인범일 수도 있다는 암시 쯤으로 끝난다. 매혹적이라는 표현은 사실 이때가 더 적절했을 것 같다. 그리고 극 중 그녀는 ‘사실 정말로 연쇄 살인범이 아니였을까?’ 싶다.      

   그리고 2017년 현재, 감독은 이번에는 더 치열한 설정으로 관객에게 다가왔다. 극 중 주인공은 사회적으로 성공한 CEO이며 단 하나! 그것 빼고는 인생 자체가 절망인 캐릭터이다. 물론 그 절망은 극 중 캐릭터의 가족 관계에서 기인하나 그녀 자신의 성격 또한 그 절망을 일으키는 원흉 중에 하나라고 보여진다.     

   하지만 이 영화의 매력 포인트가 이제 등장하는데 결론이 지극히! 매우! 해피 엔딩이라는 것이다. 그녀는 사실 어찌보면 현실에서는 악녀 측에 속하는 캐릭터다. 단지 그녀가 강간을 당했기 때문에 그것이 가리워져 있을 뿐이다. 생각해봐라! 전 남편의 주차한 차에 아무렇지도 않게 뺑소니 사고를 일으키며 가장 친한 친구이자 회사 동료의 남편과 불륜 관계이며 크리스마스에 초대한 이웃 부부의 남편을 유혹하고 있다. 도덕성 제로다!      

   그래서 강간은 관객들에게 이 영화를 호도하게 만드는 함정이다. 1992년 ‘원초적 본능’에서 샤론 스톤이 관객과 극 중 인물들에게 선사한 함정이 섹시함이었다면 25년이 지난 ‘엘르’에서 극 중 주인공이 관객과 극 중 인물들에게 자신의 캐릭터를 감추기 위해 파 놓은 함정이 강간이라는 말이다.  좀 무서운 생각이 들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예고편과 포스터도 그랬으니까. 문득 궁금해진다. 폴 버호벤 감독의 100% 의도였을까? 아니면 프랑스에서라도 제작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선택의 문제였을까?     

   여하튼 영화는 해피 엔딩이다. ‘그리고 또는 그래서’ 차라리 편했다. 주인공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는데 결론이 해피 엔딩이라 편한 영화는 정말 간만이다. 연민이 느껴지지 않아서 좋았다는 얘기다. ‘그리고 또는 그래서’ 사실 이 부분은 푸코의 ‘광기의 역사’ 중 죄의식의 부재와 같은 맥락이다. 영도에서는 분명히 선명하게 느꼈으니까. 마치 영화 ‘스포트라이트’에서 성추행 당한 아동들의 책임이 마을 전체(우리 모두)에게 있는 것처럼 .     

   그리고 어쩌면 우리에게 교훈을 주지 않는 것이 ‘영도’라는 영화에서도 더 좋았지 않았을까? 라는 오만한 생각도 들었다. 영화를 보며 꼭 교훈을 얻어야 하는 것은 아니니까. 감독이 도덕 선생님이 될 필요는 없으니까. 그래야만 좋은 영화, 훌륭한 작품이 되는 것은 아니니까. 폴 버호벤 감독에게 오늘도 하나 배웠다.     

   영화 보기를 권하냐고? – 그건 독자의 판단에 맡끼고 싶다.     



2017-06-23 04:21:33

블로그 이미지

TheK의 추천영화

영화 평점 조작 알바들 때문에 짜증나서 내 돈 내고 직접 쓰는 솔직한 영화 추천.

,